카르마 카지노

티메프 사태 한달···중소 이커머스 ‘줄폐업’ 위기

알렛츠 필두로 줄줄이 서비스 중단 예고 업계 전반에 신뢰도 하락→투자심리 저하 대형 이커머스 몰리는 소비자···파장 계속

2024-08-28     김종효 기자
서울 강남구 티몬 본사 사옥. [사진=이뉴스투데이DB]

[이뉴스투데이 김종효 기자] 티몬과 위메프(티메프)의 대규모 미정산 사태가 한 달에 접어든 가운데, 중소형 이커머스의 줄도산 우려가 현실화되고 있다.

◇알렛츠 영업 종료 선언···티메프 폭탄 터졌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이커머스 업계에 큰 파장을 일으킨 티메프 사태 이후 한 달, 자본력이 약한 중소형 이커머스 플랫폼들의 도산이 잇따르고 있다. 

티메프 사태가 터진 뒤 업계에서는 이커머스에 대한 신뢰가 추락해 타 이커머스 기업의 타격을 우려했다. 이런 상황에서 최근 가구 및 가전 판매 전문 온라인 쇼핑몰인 알렛츠가 영업 종료를 선언하며 우려가 현실로 나타났다.

알렛츠는 경영 상의 사정으로 인해 오는 31일자로 서비스를 종료한다고 지난 16일 공지했다. 알렛츠 운영사인 인터스텔라 박성혜 대표는 임직원들에게 보낸 메일에서 “15일 마지막 투자 유치가 불발되면서 더 이상 회사 운영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인터스텔라는 지난 2020년 산업은행으로부터 받은 20억원 규모의 벤처 투자 이후 추가 투자를 받지 못했다.

박 대표는 “불과 2~3일 전만 해도 어떻게든 잘 버티면 티메프로 시작된 여러 상황을 잘 이겨낼 수 있을거라 생각했다”고 했지만, 결국 최종 투자 유치가 불발되면서 폐업을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말 기준 인터스텔라는 자산 113억원에 부채 317억원인 완전 자본잠식 상태다. 지난해 매출은 150억원, 영업손실은 104억원으로, 누적 결손금 357억원이었다.

특히, 서비스 종료 공지가 입점 업체들의 중간 정산일과 겹치면서 다수의 판매자들이 정산을 받지 못해 피해를 호소하고 있다. 고객들 또한 상품 주문 후 배송 중단을 통보받고 환불을 요구하는 상황이다. 

피해를 입은 판매자와 소비자들은 박성혜 대표를 고소했다. 경찰은 박 대표를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사기 혐의로 출국금지 조치하고 곧 소환 조사할 계획이다.

[사진=알렛츠]

◇중소 이커머스의 경영난, 도미노 파장 우려

이 외에도 버즈니가 운영하는 사자마켓, NHN위투의 1300K, 위투MRO, 소쿱, 1200m 등도 오는 30일 사업 종료를 예고하고 있으며, 1세대 해외명품 편집 쇼핑몰인 한스타일도 오는 10월 4일 서비스를 종료할 예정이다. 

이와는 반대로 악의적 루머에 골머리를 앓는 기업들도 있다. 컬리는 “최근 컬리와 관련해 대표 해외 도피 등 근거 없는 소문이 무분별하게 확산되고 있다. 이는 전혀 사실이 아님을 말씀드린다. 또한, 현재 컬리의 현금 유동성 등 재무구조는 안정적”이라며 허위사실 유포에 따른 법적 대응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오늘의집을 운영하는 버킷플레이스는 티메프 사태가 불거진 뒤 판매자들에게 일정산을 도입하기로 했다. 판매자 입장에선 기존과 비교해 최대 19일까지 정산주기가 앞당겨지고 매일 정산을 받아 거액의 판매대금이 묶이는 경우도 사라진다는 설명이다. 현재 네이버, G마켓, 11번가 등이 일정산을 시행 중이다.

오늘의집은 이번 일정산 시스템 도입을 통해 2만 6000여 파트너들의 자금회전이 원활해지고 선정산 대출로 인한 이자 비용 부담 등을 덜어 사업운영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오늘의집은 최근 일부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서 정산금을 제때 지급하지 못하고 있다고 있다는 허위사실이 유포되자 강력한 법적조치 등을 검토하고 있다.

[사진=픽사베이]

◇투자심리 위축, 신뢰 저하로 인한 경영난

중소형 이커머스의 잇따른 폐업은 티메프 사태 이후 투자자들의 신뢰가 급격히 떨어지면서 경영난으로 이어진 결과로 분석된다. 소비자들 또한 신뢰할 수 있는 대형 이커머스로 옮겨가면서 중소형 플랫폼의 입지는 더욱 좁아지고 있다. 

플랫폼 입점 판매자들도 한 이커머스에 의존하지 않고 여러 플랫폼에 분산해 영업을 하는 전략을 취하고 있다. 이 때문에 차별화로 경쟁력을 갖지 못한 이커머스는 대형 이커머스에 밀릴 가능성이 높다. 향후 이커머스 폐업 사태가 더 이어질 것으로 우려되는 이유다.

결국, 이번 사태는 이커머스 시장의 재편을 예고하고 있으며, 자본력이 약한 중소형 플랫폼들은 더욱 치열한 생존 경쟁에 내몰릴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도 투자자들과 소비자들의 신뢰를 회복하지 못한다면, 더 많은 중소형 이커머스가 문을 닫을 가능성이 크다.

현재 업계에서는 중소형 이커머스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일부에서는 정부의 개입과 정산 주기 단축 등의 규제 강화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지만, 이런 규제가 오히려 중소업체들에게 추가적인 부담을 줄 수 있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장기적으로는 업계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이번 위기는 단순한 업계의 일시적인 변동이 아니라, 중소형 이커머스의 경영 구조를 근본적으로 되돌아봐야 하는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