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르마 카지노

절반 ‘겨우 버티는’ 응급의료···추석 동안 매일 1만명 진료 못 받는다

50% 이상 “‘의정갈등’ 발발 후 가동률 저하” 응급의료진 감소세···3분의 1 이상 줄어들어 “정부·의사 인식 천지 차이···거짓말 멈춰야”

2024-09-11     이승준 기자
[사진=연합뉴스]

[이뉴스투데이 이승준 기자] 응급실 의료진 절반이 겨우 버티는 수준인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추석 연휴 기간 동안 일평균 1만명 이상의 환자가 응급진료를 받지 못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며 우려가 커지고 있다.

11일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이 지난 4~9일 국립대병원 7곳, 사립대병원 23곳, 지방의료원 14곳, 특수목적공공병원 10곳, 민간중소병원 7곳 등 65개 의료기관의 노조 지부를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 중 42곳(64.6%)에서는 의료공백이 발생 중이라고 답했다.

응급실(응급의료센터) 비상진료체계가 어떻게 가동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36곳(55.3%)이 겨우 버티고 있지만 불안하다고 응답했고, 3곳은 무너지기 직전이고 더 오래 버틸 수 없는 지경이라고 했다. 반면 26곳(40.0%)은 원활하게 정상적으로 가동되고 있다고 답했다.

응급실 가동률이 지난 2월 전공의 집단사직 이전에 비해 떨어졌다고 한 곳은 33곳(50.7%)이었고, 큰 변화가 없다고 응답한 곳은 26곳(40.0%)이었다. 50% 이하로 떨어진 곳은 10곳(15.3%), 51~80% 수준으로 떨어진 곳은 20곳(30.7%)으로 집계됐다.

배경으로는 의료진의 감소가 지목된다. 설문에 참여한 병원 중에서는 응급의학과 의사 수(전공의 포함)가 크게 감소한 곳이 적지 않았다. 응급의학과 의사 수가 18명에서 6명으로 3분의 1로 줄어든 곳이 있었고, 11명 줄어든 곳이 2곳, 10명 줄어든 곳이 2곳 있었다.

다가오는 추석 연휴에는 응급의료에 한계가 발생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며 우려가 더 깊어졌다. 대한응급의학의사회는 9일 응급의학 전문의 회원을 대상으로 지난 3~7일 실시해 503명이 답변한 응급실 현황 관련 설문조사를 공개하며 이 같이 밝혔다.

응급의사회 측은 “평소 2만명 근처인 응급실 일일 내원 환자 수가 연휴에는 작년 기준 3만명까지 증가했다”며 “지금도 진료에 차질이 있는데 (추석 연휴에는) 일평균 1만명의 환자가 응급진료를 받지 못하게 될 상황인 것”이라고 진단했다.

조사 결과, 수도권 의료기관 응급실 의사의 97%는 추석 연휴를 위기 상황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비수도권의 경우 94%가 위기 상황이라고 답했다. 또 93%는 ‘3월 이후 근무 강도가 증가했다’고 답했다. 비교육수련 병원의 경우 응답자의 99%가 근무강도가 늘었다고 했다.

부담이 가중되던 가운데 한계에 봉착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들은 “전공의가 없던 비교육수련 병원들은 원래 한계까지 업무를 수행했던 것으로 보이고, 수련병원 의사들은 전공의의 빈자리를 채우기 위해 근무 시간이 늘어나 업무 부담이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병상 축소 운영도 우려를 더한다. 같은 조사에서 수련병원 응급실에서 일하는 응답자의 55%는 ‘병상을 축소해 운영하고 있다’고 답했다. 다만 허가 병상 자체가 줄었거나, 국가응급진료정보망(NEDIS)에 병상 축소 신고를 하지 않은 경우도 있다는 게 응급의사회의 설명이다.

정부를 향해서도 비판의 목소리가 나왔다. 응급의사회는 “정부는 문 닫은 응급실 몇 개 이외에는 문제가 없다고 설명하지만, 현장에서 일하는 응급의학 전문의들의 인식과 천지 차이”라며 “대부분 응급의학 전문의는 통계로 거짓말을 하는 정부를 규탄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의료현장에서는 의사들을 향해 복귀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쏟아진다. 보건의료노조는 “의사 인력이 부족한 것은 전공의 집단 진료 거부 사태를 통해 명확히 확인됐다”며 “여야의정 협의 제안조차 거부한 것은 억지를 부려서라도 무조건 정부를 이기겠다는 정치 논리”라고 주장했다.

이어 “전공의들은 더 이상 응급실 파행을 방치하지 말고 조속히 치료 현장으로 돌아와야 한다”며 “일부 정치권 인사와 언론은 일체의 대화를 거부하며 국민생명을 내팽개치고 있는 의사단체들의 의대 증원 백지화 주장에 동조하지 말고 환자와 국민 편에 서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