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서운 '전동 킥보드' 사고, 근본적인 해결책은?

thedrive / 기사작성 : 2021-05-08 18:19:18
  • -
  • +
  • 인쇄



오는 13일 전동 킥보드 관련 법이 예전의 원동기장치 자전거 관련 법으로 다시 탈바꿈했다. 지난 수년간 지속적으로 사고가 증가하고 있는 전동 킥보드 문제는 아직도 미궁에서 헤매고 있으며, 앞으로도 마찬가지라는 것이다.
 
작년 6월 이전에는 전동 킥보드 규제를 원동기 장치 자전거에 준하는 규제로 진행하다가 보험의 부재와 차도 운행으로 인한 사고 등 다양한 문제점이 노출되면서 12월에 다시 자전거에 준하는 관련 법으로 바뀌었다.
 
그러나 자전거 운행 기준이 13세 이상의 나이와 안전장구 착용 없이 차도를 달릴 수 있게 되면서 더욱 심각한 문제점이 노출됐다. 즉 중학교 1학년생이 헬멧 등 안전장구 없이 차도를 씽씽 달리는 모습이 연상되면서 사회적 우려가 현실화되기 시작했고, 다시 급하게 원 위치해 5월에 다시 원동기 장치 자전거로 편입된 것이다.
 
다른 점이 있다면 자전거전용도로를 운행할 수 있는 기준으로 바뀌었고 음주운전 금지, 2명 이상 탑승 금지 등 여러 사항이 추가됐다는 것이다. 물론 주차와 수거 등 관련 사항도 강화됐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근본적인 문제는 해결된 것이 아니라 곪은 상태에서 그대로 봉합한 상태다. 심각한 문제 몇 가지를 논의해보도록 하자.
 
우선 전동 킥보드가 10대면 10대 모두 보도로 올라오는 근본적인 문제는 아무도 거론하지 않고 그냥 금기 지역이라 놔둔 문제이다. 왜 보도로 모두가 올라오는가를 생각하라는 뜻이다. 자전거 전용도로는 산책길 등 일부 영역에만 있고 상당 부분의 길은 자전거 전용도로가 없는 상황이다.
 


결국 전동 킥보드는 차도로 운행해야 하는데 차도로 나가라는 뜻은 죽으라는 뜻과 같다고 할 수 있다. 결국 죽지 않기 위해 보도로 올라온다는 것이다. 그러나 보도에서의 전동 킥보드는 단속하는 경우가 전혀 없다. 말만 보도 운행 금지라고 할 수 있지 실제와는 완전히 다른 ‘눈 가리고 아웅식’이라는 것이다.

그래서 보도에서의 운행을 전향적으로 생각해 보는 것이다. 일본 등은 일정 속도 이하이면 전동 킥보드가 보도로 올라와서 운행이 가능하다. 사고는 거의 없다고 할 수 있다, 양보와 배려 등 모두가 조심하고 법규 준수 의식 하에서 운행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 결국 보도로 올라오면 사고 발생 시 모든 책임을 전동 킥보드에 두는 방법도 있을 것이다. 차량의 비보호 좌회전에서 문제가 발생하면 대부분이 비보호 좌회전 차량에게 책임이 있듯이 보도에 올라온 전동 킥보드에 책임을 묻는 것이다.
 
동시에 손보협회와 정부 등이 나서서 전용 보험을 개발해 문제 발생 시 해결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해야 한다. 보험사기범의 대상이 될 수 있으나, 보도로 올라오는 전동 킥보드가 알아서 조심하여 운행하게 만든다는 것이다. 실제로 단속도 하지 않는 현실에서 할 수 있는 방법이라 판단된다. 물론 보도에서의 모든 이동 수단은 근본적으로 금지돼 있지만, 이제는 고민해야 하는 시점이라는 것이다.

두 번째로 앞서 언급한 보도 운행의 전제 조건에 속하는 문제가 전동 킥보드 속도이다. 전동 킥보드는 이동 수단 중 가장 안전도가 떨어지는 결격사유가 큰 이동 수단이다. 바퀴 구경이 작아서 과속의 경우 심각한 위험이 발생하며, 서서 운행하는 만큼 무게 중심이 높고 좌우로 꺾는 각도가 커서 더욱 위험한 이동 수단이다.
 


그러나 간편해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고 대여와 반납 등 여러 면에서 활용도가 매우 높은 미래형 이동 수단이라 할 수 있다. 필수불가결한 이동 수단이나 과속에 매우 위험한 만큼 속도를 엄격하게 규제하는 조건이다.
 
현재 시속 25Km 미만이지만 전동 킥보드는 특성상 시속 20Km 미만으로 해도 충분한 목적 달성이 가능하고 속도 감속으로 보행자 등과의 접촉사고에서 부상의 정도를 크게 낮출 수 있다는 것이다. 앞서 언급한 보도에서의 운행 등을 고려하면 의미 있는 속도 제한이라 할 수 있다. 속도 제한을 풀면 엄격히 단속하는 엄벌 기준을 강화하는 것은 기본이라 할 수 있다.


세 번째로 헬멧 착용 의무화 문제이다. 당연히 안전장구 착용은 부상의 정도를 낮출 수가 있으나, 근본의 목적을 해치는 문제가 될 수 있다는 점이다. 예전 자전거 탑승 시 헬멧 착용 의무화를 추진해 사회적 반발이 거세지고 현실적으로 적용이 불가능해지면서 없던 일로 마감된 사례를 참조할 수 있다. 그렇다고 현재 자전거 사고가 급증한 것도 아니다. 일본 등도 자전거 헬멧 착용은 없는 상황에서 사고 발생 빈도는 극히 낮다.

헬멧 착용 시 공유 전동 킥보드의 경우 분실이나 파손은 기본이고 위생상 사용하는 문제점은 더욱 큰 문제가 된다. 속도를 낮추고 미래형 모빌리티의 특성을 헤치지 않는다는 측면에서 고민해야 하는 문제다. 역시 해외에서 헬멧 착용 의무화가 아닌 상태에서 사고가 없는 이유를 찾아야 한다.

네 번째로 공유 전동 킥보드의 반납과 수거 방법에서 사용 면적 대비 수거 장소의 한정된 장소 지정은 도리어 전동 킥보드의 장점을 버리는 심각한 문제가 될 수 있다는 점이다. 물론 당연히 보도에서 아무렇게나 반납하는 부작용으로 보행자의 위험이 노출되는 경우는 없어야 하는 만큼 수거 장소에 대한 보행자 안정성과 특성을 살릴 수 있는 수거장소 확대가 필수적이다. 장소 크기와 관계없이 곳곳에 포진하는 수거 장소의 확보는 활성화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이 외에도 다양한 문제에 대한 중요한 해결 방법 모두 필요하다. 현재 전동 킥보드 해결 방법의 문제점은 기존의 수십 년 된 법 테두리에다가 새로운 모빌리티인 전동 킥보드를 우그려 넣다 보니 발생하는 문제가 크다. 새로운 모빌리티인 만큼 안성맞춤의 새로운 관련 법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른바 ‘퍼스널 모빌리티(PM) 총괄 관리법’의 탄생을 지칭한다.
 
이는 추후 전동 킥보드를 비롯한 다양한 개인 휴대용 이동 수단이 발생해도 새로운 큰 그릇에 넣을 수 있는 관련 법을 말한다. 우리보다 앞서 사용한 선진 사례를 소개하면서 한국형 선진 모델로 탈바꿈하는 기회도 마련하고 전문가는 물론 관련 부처가 모두 모여서 새롭게 관련 법을 탄생시키자는 것이다. 우후죽순식의 즉흥적인 관련 법의 탄생도 우려된다. 하지만 언제까지 지금과 같은 문제점을 발생시키면서 국민적 불편함과 불안감을 가중시켜야 하는지 묻고 싶다. 관련 부처의 제대로 된 법 제정을 촉구한다.
 
김 필 수 (김필수 자동차연구소 소장, 대림대 교수)

[저작권자ⓒ 더드라이브(TheDrive).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