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값이 올해 7월까지 2.45%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 모습. [사진=이뉴스투데이 DB]
서울 아파트값이 올해 7월까지 2.45%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 모습. [사진=이뉴스투데이 DB]

[이뉴스투데이 김남석 기자] 지난 한 해 0.86% 올랐던 서울 집값이 올해 7월까지 벌써 2.45% 올랐다. 같은 기간으로 비교하면 지난해 상승률 0.18%보다 상승폭이 1533% 확대됐다.

특히 서울 집값 상승을 이끌고 있는 강남 지역 아파트값이 지난해 처음으로 3.3㎡당 1억원을 넘긴 뒤에도 오름세가 이어지면서 ‘평당 2억원 시대’가 멀지 않았다는 말도 나온다.

◇반포 ‘아리팍’ 평당 1억5천 돌파…1년 새 420만원 상승

8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강남 지역에서 3.3㎡당 1억원을 넘긴 아파트 단지는 10곳이다.

가장 높은 가격에 거래된 곳은 서초구 반포동 아크로리버파크였다. 이 아파트는 지난달 19일 전용 84.95㎡가 39억8000만원에 거래됐다. 3.3㎡당 1억5486만원 수준이다. 같은 반포동에 위치한 반포주공 1단지도 전용 106.25㎡이 지난 5월 45억원에 거래되며 평당 1억4000만원에 다가섰다.

강남구 역시 평당 1억원 단지가 속출했다. 압구정동 현대14차는 지난 4월 전용 84.56㎡이 34억원에 거래돼 3.3㎡당 1억3200만원을 넘어섰다. 이 외 압구정동 현대1차와 2차, 한양1차 모두 상반기 평당 1억원이 넘는 금액에 거래됐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강남의 집값 상승의 가장 큰 원인으로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을 꼽았다. 교통, 생활, 교육, 직주 근접, 상징성 등의 요인으로 강남 지역의 수요는 꾸준히 올라가고 있는 것에 반해 재건축 규제, 분양가상한제 적용,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등 규제책만 발표되면서 신규 공급에 대한 기대가 어렵다고 분석했다.

◇교통호재, 저금리, 공급부족, 수요집중…“떨어질 이유가 없다”

[사진=한국부동산원]
[사진=한국부동산원]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최근 서울 집값이 너무 빠르게 오르면서 피로감이 생기긴 했지만 강남권 주택 신규 공급이 지연되면서 여전히 상승세가 꺾이지 않고 있다”며 “금리 인상 우려가 있지만, 기저효과로 아직 주담대 등 이율에 대한 부담이 낮아 적어도 올해까진 집값 상승이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평당 2억원 시대에 대해서는 의견이 갈렸다.

대한부동산학회장을 맡고 있는 서진형 경인여대 교수는 “부동산 시장가격은 결국 수요와 공급에 따라 결정된다”며 “강남으로 수요가 집중되고 있지만, 공급할 땅은 없고 재개발 재건축까지 규제를 지속하고 있는 만큼 2030년 안에 평당 2억원도 충분히 가능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수요 상승과 공급 부족으로 당분간 집값 상승이 이어질 것이라는 부분에 대부분이 동의했지만, 현재 평당 2억원대를 기록하고 있는 도쿄, 베이징, 홍콩 등과 비교해 서울은 시장 불안, 남북 대치 등의 리스크를 안고 있어 집값 상승이 억제될 것이라는 의견이 나왔다.

권대중 명지대 부동산대학원 교수는 “교통 호재로 서울 접근성이 높아질 것이란 기대 심리로 현재 GTX 철도망 주변 집값이 급등하고 있지만, 이러한 상승세를 결국 강남 등 중심지가 빨아들이는 ‘빨대 효과’가 나타나며 집값 상승이 이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그는 “평당 2억원을 넘어선 도쿄, 베이징, 홍콩 등과 비교했을 때 서울이 더 비쌀 이유가 없다”며 “한국이 가지고 있는 리스크로 인해 외국 자본 투자가 제한되면서 향후 10년을 내다봐도 평당 평균 1억5000만원 선을 유지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전문가들은 내년 선거 이슈로 도시정비사업 관련 규제 완화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고, 공공재개발‧재건축, 임대주택, 3기신도시 등 정부의 공급시그널이 이어지고 있지만, 실제로 물량이 시장에 풀리기 위해서는 최소 5년 이상이 소요되는 만큼 서울 집값을 진정시키기 위해서는 장기적인 계획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서 교수는 “인구 절감, 금리, 수요 등을 면밀히 분석해 연도별 공급 계획을 세워야 한다”며 “특히 도심지의 경우 일반적인 재건축‧재개발은 공급 효과가 낮아 수요 감당이 어려운 만큼 고밀 개발을 추진하는 것도 좋은 전략”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저층 주거지를 개발할 때 건폐율은 낮추고, 용적률을 높이는 형태로 만들고 건폐율을 줄인 만큼 도로나 공원용지를 확보해 시민들에게 돌려주는 전략이 필요해 보인다”고 조언했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email protected]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