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tfglobal, 그래픽=고선호 기자]
[사진=tfglobal, 그래픽=고선호 기자]

[이뉴스투데이 고선호 기자] 정부의 각종 지원 정책에도 국내 전력거래 시장에서 태양광에너지의 약세가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작년 상반기를 기점으로 전력거래량 부문에서 연료전지가 태양광을 앞서는 역전 현상이 가속화되고 있음은 물론, 일조량이 줄어드는 겨울철의 경우 거래 감소폭이 크게 증가해 발전시장에서의 입지를 잃고 있다는 지적이다.

16일 전력거래소·한국전력공사·한국에너지공단이 운영하는 ‘신재생 원스톱 사업정보 통합포털’에 따르면 올해 1월 기준 태양광 전력거래량이 340억원으로 집계돼 360억원을 기록한 연료전지에 역전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2월을 기점으로 태양광 거래량이 448억8000만원, 3월 579억원까지 회복세를 보였으나,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했을 때 연료전지의 상승분은 더욱 확대되고 있다.

지난해 1월부터 3월까지 태양광 전력거래량은 △1월 247억원 △2월 341억원 △3월 506억원으로 집계됐다.

연료전지는 같은 기간 각각 211억원, 205억원, 237억6000만원을 기록했지만, 올해 360억원, 331억원, 376억원으로 모든 기간 100억원 이상의 가파른 증가세를 보였다.

특히 해당기간의 경우 꾸준한 일조량이 확보되는 동절기 이후이기 때문에 평균적으로 태양광의 경우 증가세가 가팔라지지만, 연료전지는 이를 한참 밑도는 수준으로 거래량이 감소해왔다.

실제 지난 2018년 기준 해당 기간 평균 전력거래량을 살펴보면 태양광은 205억3000만원, 연료전지는 122억원 수준을 기록, 3년새 연료전지의 평균 전력거래량이 100억원대까지 증가한 것이다.

발전업계 관계자는 “발전의 효율성, 안정성으로 연료전지 분야의 성장세가 가팔라지고 있다”며 “이 같은 연료전지 분야의 사업성이 증명되면서 관련 기업뿐만 아니라 정부의 주목도도 높아진 상태다. 기존 신재생발전과의 격차는 더욱 벌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태양광과 연료전지 분야의 불균형적인 성장의 원인으로 정부 지원 정책의 일관적이지 못한 방향성을 꼽았다.

특히 최근 신재생에너지 활용한 발전 기술이 핵심 산업으로 성장하면서 장시간 발전이 가능한 연료전지 분야의 강세가 뚜렷해짐에 따라 이에 대한 정부의 주요 지원 정책이 연료전지로 쏠리고 있다는 지적이다.

실제 정부는 그동안 전력수급 기본계획 등의 관련 정책에 대한 잇단 수정을 통해 태양광 보급 확대를 이끌어왔지만, 시설용량 확충에만 집중한 채 시장성장에 필요한 인프라 구축 및 제도 개선에는 적극적으로 대응해오지 못했다.

이 같은 무리한 확산 정책으로 인해 국내 태양광 발전 사업자 수는 지난 2017년 2만1200개 업체에서 지난해 12월 기준 6만개 업체로 3년간 약 3배 이상 급증했음에도 불구하고 수익성은 계속해서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민간사업자의 주 수입원인 REC거래단가의 경우 지난 2017년 kW당 104.68원에서 12월 29원대로 3년 만에 약 5분의 1수준으로 주저앉는 등 계속해서 악화되고 있는 실정으로, 이로 인해 국내 태양광 발전 시장은 한 치 앞도 내다볼 수 없이 급변하고 있다.

이와 관련, 이준신 성균관대 전자전기공학부 교수는 “현재 정부의 급변하는 조변석개식 정책으로 인한 시장 악화가 심화되고 있다. REC가격 변동폭은 물론 시시때때로 변화는 정책으로 인한 피해는 발전사업자의 몫으로 돌아가고 있는 상황”이라며 “에너지·발전 분야는 20~30년 주기를 갖고 있어 장기적인 관점으로 다양한 수정·보완 절차를 거쳐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email protected]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