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공회의소와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7월 18일 ’체외진단기기 활용 비대면 동물 건강관리 서비스‘의 규제샌드박스를 승인했다. [사진=픽사베이]
대한상공회의소와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7월 18일 ’체외진단기기 활용 비대면 동물 건강관리 서비스‘의 규제샌드박스를 승인했다. [사진=픽사베이]

[이뉴스투데이 이승준 기자] 최근 ‘반려동물 비대면진료’가 규제 완화에 힘입어 펫코노미의 새로운 먹거리로 부상하는 분위기다, 그러나 수의사·업계 간 시각차는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오진 가능성’을 우려하는 수의사들과 달리 기업들은 잇달아 서비스를 선보이는 양상이다.

7일 업계에 따르면 대한상공회의소와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7월 18일 ’체외진단기기 활용 비대면 동물 건강관리 서비스‘의 규제샌드박스를 승인했다. 규제샌드박스는 신기술이나 신사업을 시도할 수 있도록 일정 조건에서 규제를 면제·유예해주는 제도다.

이러자 업계에서는 국내에서 반려동물 비대면진료 제도화의 물꼬가 트였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번에 승인된 서비스는 고객이 반려동물 소변검사키트를 구매해 검사한 뒤 결과를 플랫폼을 통해 수의사에게 전달하고 소견을 받는 서비스다. 현행법상 동물 진료는 대면만 가능하다.

 

◇수의사들 “안전·효용 둘 다 의문···오진 가능성 크다”

그러나 수의사들은 ‘안전’ 문제를 거론하며 반려동물 비대면진료 활성화에 우려를 표하고 있다. 섣불리 시행했다가는 ‘오진’이 발생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동물 진료의 특성상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보호자의 증상 설명’에 의존하는 정도가 대면진료보다 높다는 이유를 든다.

한 수의사는 “사람은 자신의 통증을 ‘어디가 어떻게 아프다’는 식으로 얘기할 수 있지만, 동물은 이 일을 보호자가 대신 할 수밖에 없다”면서 “보호자 자신조차도 동물의 증상과 통증을 제대로 파악할 수 없으니 보통은 ‘아파한다’는 추상적인 표현을 쓰는 정도에 그친다”고 말했다.

비대면진료의 ‘효용성’에도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오진에 따른 책임 위험이 수의사들의 진료활동을 위축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게다가 타국 대비 수의사 수가 많아 대면진료 접근성이 높은바 비대면진료만의 특장점을 가지기 어렵다고 수의사들은 입 모아 말한다.

‘오남용’ 우려 또한 수의사들이 비대면진료에 회의적인 시선을 보내는 이유가 된다. 규제 완화 전부터 일부 동물병원에서 전화 통화만으로 타지역으로 동물약을 배송해주는 일이 빈번히 발생하며 문제가 된 바 있다. 퀵·택배로 동물약을 배송하는 행위는 약사법 위반에 해당한다.

또 다른 수의사는 “최근 반려동물 비대면진료 규제가 완화되기 전부터 불법적인 동물약 배송이 종종 발생하며 문제가 된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규제 완화로 비대면진료 서비스가 활성화되면 동물약 불법 배송 문제가 더욱 부각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고 우려를 표했다.

 

◇규제 완화에 ‘탄력’ 업계 “사진·진단키트로 집에서 간편히”

이런 가운데 규제 완화에 탄력받은 업계는 잇달아 반려동물 비대면진료 서비스를 선보이고 있다. 기업들은 사진·진단키트 등을 활용해 집에서 간편히 반려동물의 건강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를 선보이고 있다. 이를 통해 1500만명을 돌파한 반려동물 양육 가구를 노린다.

‘에이아이포펫’은 국내 최초로 지난 3월 수의사 비대면진료 서비스를 론칭했다. 반려인이 티티케어를 통해 반려동물 건강상태를 확인하고, 수의사가 실시간으로 비대면상담·진료를 제공하는 방식이다. 아직까지는 안과 질환을 수의사가 초진하고 이를 재진하는 경우에 한정된다.

‘펫스니즈’도 이번 규제샌드박스 수혜를 입고 시장에 뛰어들었다. 회사가 실증특례를 승인받은 ‘체외진단기기 활용 비대면 동물 건강관리 서비스’를 통해서는 단백질·포도당·백혈구 등을 검사할 수 있다. 수의사가 비대면으로 진단한 후 증상에 따라 대면진료를 권장하기도 한다.

‘림피드’는 진단 ‘올인원’을 표방했다. 이들이 선보인 ‘닥터트러스티’는 문진·진단·처방 등 진료 과정부터 처방사료 판매까지 한 번에 제공한다. 처방사료는 만성질환을 관리하기 위한 일종의 건강기능식품으로 동물의약품과는 구별된다. 림피드는 ‘처방사료 판매’로 차별화를 시도했다.

업계 관계자는 “이미 조사에서는 원격진료를 요구하는 보호자들이 절반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난 만큼 수요는 충분히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면서 “국내보다 더 많은 보호자들이 있는 해외는 시장과 수요도 더 큰 만큼 앞으로는 적극적인 해외 진출도 모색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email protected]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